전체 글25 연역 추론과 공리 체계 근대 과학이 완성되기 전까지 과학 방법론으로 중요하게 생각되었던 것은 연역 추론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고 유클리드가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연역 추론은 아래의 에와 같은 형태로 진행된다. [명제 1] 모든 동물은 언젠가는 죽는다. [명제 2] 지금 내 앞에 있는 모기는 동물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명제 3] 이 모기는 언젠가는 죽는다. [명제 2]와 [명제 3] 사이의 선은 수학에서 사직연산을 할 때 굿은 줄과 비숫한 역할을 한다. 수식의 계산에서 줄 밀의 숫자가 답이 되듯이, 추론에서도 줄 밑의 문장이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론식에서 줄 아래의 명제를 '결론', 줄 위의 두 명제, 즉 결론을 내리는 데 필요한 원리들을 '전제'라고 부른다. 그런데 .. 2024. 2. 21. 고전적 과학 방법론 과학이라는 말이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과학 활동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떠한 방식의 활동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방식일까? 수백 년 전의 과학자와 철학자들도 이 질문에 진지하게 매달렸으며 나름대로 답안을 내놓았다. '고전적 과학 방법론'이라 불리는 과거의 방법론들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이론만이 과학적인 이론이라 보았으므로, 이론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여러 가지 엄격한 제약을 두었다. 고전적 과학 방법론에서는 데카르트로 대표되는 선험적 방법론과 베이컨과 뉴턴에 의한 귀납적 방법론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과학 지식 체계가 형성되는 방식 1993년, 국내의 한 침대 회사가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라.. 2024. 2. 21. 과학철학과 과학적 방법론 과학철학은 과학이 아니라 과학에 관한 학문이다. 이처럼 어떤 학문에 관한 학문을 '메타 학문'이라 부르므로 과학철학은 일종의 '메타과학'이라 할 수 있다. 과학이라 불릴 수 있는 활동은 오래 전부터 비교적 체계를 갖추고 발전해 왔지만, 메타과학이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 과학의 여러 가지 분야의 일이다. 메타과학 중에서도 특히 과학에 관해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과학철학은 20세기가 되어서야 독립된 학문 분과로 인정되었다. 1 과학철학이란 무엇인가 과학철학이란 '과학에 관한 철학적 탐구'라고 풀이된다. 따라서 과학철학이 어떤 학문인가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과학'과 '철학적 탐구'의 의미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우리는 일상에서도 '철학'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한다. "철학이 있는 경영자",“OO.. 2024. 2. 19. 과학의 역사를 보는 여러 관점들 과학의 역사를 보는 관점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다. 합리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과학의 역사를 보려는 시도에서 시작하여, 자연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과학의 역사를 해석하려는 관점을 거쳐 사회적 ·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과학의 역사를 보려는 관점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과학의 역사를 보는 관점에 따라 과학사가 어떻게 다르게 서술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합리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본 과학의 역사 현대 물리학, 화학, 생물학, 그리고 지구과학 등의 과학 분야는 길게 잡아 지난 300~400년 사이에 서양에서 만들어진 역사의 산물이다. 이들 분야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과학적 지식은 다른 종류의 지식보다 훨씬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며, 또 유용한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근대적 전통의 과학사가 처음 시작된 .. 2024. 2. 6. 과학의 시작 서양과학의 시작 서양의 자연철학은 탈레스가 활동했던 시기인 고대 그리스(기원전 6세기경)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탈레스로부터 시작되는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은 그 이전의 사람들과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첫째,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은 자연현상을 개별적이고 우연적인 것으로 보지 않았다. 이들은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차원에서 그것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난 것인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당시에는 지진이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분노 때문에 일어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탈레스는 대지가 물 위에 떠 있으며, 물의 파동으로 대지가 흔들려 지진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특히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은 세계를 구성하는 근본 물질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것들이 어.. 2024. 2. 5. 과학의 본질 과학의 본질에 대한 관점들 과학사를 공부하기 위한 첫걸음은 과학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를 정하는 것이다. 과학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를 알려면 먼저 '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답해야 한다. 왜냐하면 과학이 시작된 시점은 과학의 어떤 면을 본질적인 부분으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과학의 본질에 대한 관점은 실용성을 강조하는 관점과 합리성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크게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용성을 강조하는 과학사학자들은 과학을 '인간이 자신의 주변 환경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행동 체계'라고 정의한다. 이 정의에 의하면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이었던 도구나 기술도 과학의 본질에 포함된다. 즉 과학과 기술은 거의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 과학의 기원은 기술이.. 2024. 2. 5. 이전 1 2 3 4 5 다음